오류문구
Context initialized 이벤트를 [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Listener] 클래스의 인스턴스인 리스너에 전송하는 동안 예외 발생
발생상황
평소와 다름없이 서버를 켜고 작업을 시작하려던 차, 갑자기 이런 오류가 뜨면서 서버 실행이 안됐다.
어제 퇴근하기 전까지만 했어도 잘 됐던 서버고, 출근하자마자 실행시킨거라 파일을 수정한 것도 없는데 안됐다.
도대체 왜 안되는지 감을 잡을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_╰)╭
해결방안
내가 사용하는 STS4 에디터를 기준으로 설명되는 점인 것을 미리 알린다.
1. 프로젝트 우클릭 > Properties 클릭
2. Development Assembly > Maven Dependencies > 하단에 Apply(또는 Apply and Close)
3. 톰캣서버 재실행 하면 정상적으로 동작~!
처음 보는 오류에 당황해서 이것저것 구글링을 하며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보려고 했으나,
혹시나 내가 프로젝트를 망쳐버리면 어쩌지 하는 두려움에 파일을 크게 건드리지 않는 선에서 시도해볼 수 있는 방법을 택해 이런저런 것들을 해봤다. 결국 해결이 안돼서 마지막 수단으로 컴퓨터 재부팅을 해봤는데 해결됐었던 오류였다.
그때까지는 몰랐지,, 이 오류녀석과의 끈질긴 인연이 시작됐다는 사실을 말이다🤦♀️
처음 위 오류를 접한게 3월 16일, 그리고 또 이 오류 녀석을 만난게 4월 12일이었다.
그래도 한 번 만나본 오류라고 의기양양해서 컴퓨터를 재부팅했는데도 서버 실행이 안됐다.
아니 왜 저번에는 됐는데~ 이번에는 또 안되는거냐고오.. 하면서 구글링에 다시 착수했다.
그래도 한달동안 이것저것 파일들을 만져보면서 프로젝트 수정에 대한 두려움이 조금 사라져서 그랬는지는 몰라도,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보였던 톰캣 서버 삭제 후 재설치 방법을 택해 수행해보았다.
다행히 다시 설치하니 제대로 또 동작했는데, 문제는 그 다음날에 발생했다.
다음날이 되니 또 이 짜식이 실행도 안되고 똑같은 오류를 내뱉는거 아니겠나..... _(:з)∠)_
그래서 톰캣 서버 삭제후 재설치를 하면 또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고,,, 간헐적으로 이런 현상을 반복했어야했다.
그리고 오늘인 4월 20일 한동안 잠잠했던 이 오류가 또 아침부터 나를 괴롭혔다.
변경한 것도 없고 어제 퇴근하기 전까지만 했어도 잘 됐었잖아..😢 라고 생각하기도 잠시
도대체 같은 오류가 왜 몇번씩 발생하는걸까 하는 근본적인 궁금함이 생겨서 다시 구글링해 보았다.
그렇게 발견한 새로운 해결방법이 바로 위에 적어놓은 방법이다.
제게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해주신 아래 사이트의 질문자님과 작성자님,, 계신 곳으로 절하겠습니다🙇♀️🙇♀️
https://www.egovframe.go.kr/home/faqinfo/faqinfoRead.do?menuNo=68&faqId=FAQ_0000000000000361
항상 만수무강하시고 사는동안 행복하십쇼 ο(=•ω<=)ρ⌒☆
느낀점
이 방법을 오늘 처음 시도해본 거라 앞으로 해당 오류가 또 발생할지 아닐지를 알 수는 없지만, 그래도 하나의 해결방법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해결법을 시도해보고 조금이나마 자바 프로젝트랑 친해진 기분이 들어서 좀 뿌듯한 것 같다. 만약 또 이 오류가 발생한다면 계속해서 방법을 수정해볼 예정이다! 많관부 많관부~(❁´◡`❁)
'BE'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ROR] org.hibernate.ObjectDeletedException: deleted object would be re-saved by cascade (0) | 2023.05.31 |
---|---|
[postgreSQL] pgAdmin4 테이블 csv 파일 추출 방법 (0) | 2023.02.11 |
[Spring] 스프링 웹 개발 기초 (0) | 2023.01.07 |
[AxiosError] Request failed with status code 403 (0)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