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상 필요해서 급하게 공부하게 된 모드버스 프로토콜과 RS485통신 개념인데, 확실히 개념을 알고 나니 그동안 다른 담당자가 정리해준 내용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게 됐다. 담당자의 퇴사로 인해 직접 RS485를 구현해야하는 상황이 돼서 걱정이 많았는데, 공부할 시간을 가지고 천천히 접근하니 할수있겠는데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간단한 내용이지만, 업무에 도움이 되는 기본적인 내용이라 블로그에 정리해봤다. 화이팅..!
앱 자체를 현업에서 개발한것도 처음이고, 블투와 연결했을때 이런 오류가 발생한다는 사실도 처음이라 당황했었다. 구글링했을때도 관련 자료가 많이 없어서 문제해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됐지만, 해결해내서 넘 뿌듯했다 ^_^ 찾아보니 예전에 어떤 앱에서는 에어팟 연결하면 앱이 리로드 되는 이슈가 있었다고 하던데, 이런 오류가 지속해서 발생했다면 사용성이 정말 최악이었을것 같다. 웹뷰를 만들때의 설정이 잘못되어서 그럴수있다는 조언도 들었는데, 아직 내 수준으로는 어느 부분에서 설정이 잘못되었는지를 찾기가 어려웠다. 이럴때일수록 간절한건 시니어님의 존재지만,, 어떻게든 혼자서 해결해보는것도 참 좋은 경험인 것 같다.. 더이상 이 오류는 무섭지 않으니까!
계속하려면 계속하기 클릭위치 적절하게 설정사용자 정보 입력, 자동로그인 선책하려면 클릭 후 계속하기다음과 같이 나오면 설치가 정상적으로 시작한 것임설치 완료 후 재부팅 안내창
설치가 모두 완료되면, pc를 한번 재시작 해줘야한다.
이 과정에서 시간이 꽤나 많이 소요되기때문에 그동안은 알아서 다른 일을 하고있으면 된다.
재부팅이 끝나면 아까 입력한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를 눌러 로그인하는 창이 표시된다.
로그인 하면 설치 끝로그인 후 표시되는 화면
위 해파리 배경화면이 보인다면 설치 끝이다!
설치후기
초반에 USB를 생성하는 과정과, 우분투 설치 후 재부팅 되는 시간이 생각보다 길었다. 또 크게 어려운 것 없이 화면이 시키는대로 작업하면 큰 문제없이 설치할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매번 이런저런 설정을 기억했다가 똑같이 해야하는게 번거로워서 모든 선택지를 이미지로 남겨놓는 것을 선호하는데, 그 이미지를 활용해 기록해두면 추후 동일한 작업을 할때 뭔가 기계적으로? 따라할 수 있어서 좋은 것 같다ㅎㅎ 그리고 미니pc의 경우 F2, Esc 등 부팅모드로 진입하는 키가 서로 다르기때문에 본인이 설치할 pc의 부팅모드 진입키는 사전에 알아두는 것이 좋은 것 같다. 제품에 따라서 특정 키를 연타해야 접근이 가능하다고 하던데, ASRock DeskMini B660 제품의 경우 F11 버튼을 한번만 눌러도 바로 접근이 가능해서 편리했다!